자연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에 내재되어 있는 근본 원리를 찾아 이해하고 예측하는 자연과학분야의 대표적인 학문입니다.




자연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에 내재되어 있는 근본 원리를 찾아 이해하고 예측하는 자연과학분야의 대표적인 학문입니다.
2021.03.02
2021학년도 경북대학교 학생역량 진단검사 참여 안내 1) 대 상: 재학 중인 학부생 2) 검사목표: 7,000명(’21년도 상반기 재학생 기준 35% 이상) ※ ’21년도 신입생 80%(4,000명 정도), 기존 재학생 20%(3,000명 정도) 3) 운영기간: 2021. 3. 2(화) ~ 5. 31(월) 4) 참여방법: 경북대학교 학생역량 진단검사 시스템(http://kca.knu.ac.kr)에 접속5) 기타사항 가) 검사참여 완료자에 한하여 소정의 학습활동지원품 선별 지급 - 신입생(디지털 학습용 태블릿 PC 50대) - 재학생(모바일 기프티콘 15,000원권*3,000매) 나) 진단검사 후 결과 프로파일 제공을 통한 비교과프로그램 활용 지원
다운로드
2021.03.02
2021학년도 8월 학부졸업예정자는 졸업사정하러 오기 바랍니다. 2021학년도 8월 학부졸업예정자는 수강변경기간전에 학과사무실로 와서 졸업사정하기 바랍니다.성적증명서 가지고 오시면 더 좋습니다.
2021.03.02
2021학년도 1학기 학부생 튜터링 운영 계획 안내 붙임 파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다운로드
2021.03.02
2021학년도 1학기 재학생 추가1차 등록금 납부 안내(3. 9.(화) 09:00 ~ 3. 11.(목) 16:00(오후4시)까지) 2021학년도 1학기 재학생 추가1차 등록금 납부 안내1. 문의전화o 학생 수업 관련: 학사과 053-950-2063~6o 장학금 및 학자금 대출 관련: 학생과 053-950-2103~7o 의료공제회비 관련: 학생과 053-950-2098o 학생회비 관련: 총학생회 053-950-6961o 생활관(기숙사) 관련: 생활관 053-950-6681~2o 등록금 납부 관련: 재무과 053-950-2623~5o 고지서출력 및 납부확인 등 등록시스템 관련: 정보화본부 053-950-86492. 납부대상: 2021. 3월 현재 각 대학(원) 재학생 및 2021. 1학기 복학(예정)생★주의 : 수업연한초과자(차등납부자)는 수강확정 이후인4.1.(목)~4.2.(금)에 등록금을 납부하시기 바라며,본등록 및 추가1차 등록 기간에는 고지서가 출력되지 않습니다.(학사학위취득유예 신청자 제외)(자세한 사항은 붙임파일 안내방법에 따라 홈페이지 안내 참고)☆납부기간 중 복학신청 할 경우: 3.10.(수)까지 복학승인이 된 경우 3.11.(목) 납부가능함복학승인 여부는 해당 학과 또는 단과대학 행정실로 문의,확인할 것3. 납부기간: 2021. 3. 9.(화) 09:00 ~ 3. 11.(목) 16:00(오후4시)까지(납부시간 종료 후 가상계좌 시스템 폐쇄로 납부 불가함)4. 등록금 고지서 및 납부확인서 출력□ 고지서 조회 및 출력: 2021. 3. 9.(화) 09:00부터 가능□ 등록금표5. 납부방법 : 가상계좌 입금 또는 신용카드 납부(첨부파일 참조)- 수납대행 금융기관 : 대구은행, 농협, 신한은행- 대상카드사 : 대구은행 비씨카드, 농협 비씨카드·NH채움카드, 신한카드★ 신용카드 납부는 본 기간(추가1차)까지만 가능, 추가2·3차 납부기간에는 불가함
2021.03.02
2021학년도 1학기 대학원 종합시험 일정 안내(3월 5일(금) 오후 3시, NS1 216-1호) 일정 안내해 드립니다.전자기학 및 양자역학에 대해 각각 75분간 시험을 치르게 됩니다.1. 전자기학 : 3월 5일(금) 오후 3시, 제1과학관 216-1호 시험시간 : 3:05~4:202. 양자역학 : 3월 5일(금) 오후 4시35분, 제1과학관 216-1호 시험시간 : 4:40~5:55종합시험 원서를 제출한 학생은 반드시 시간 엄수하여 입실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1.0223
대학원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2020년 2학기와 2021년 1학기 대학원 신입생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합니다. 일시: 2021년 2월 23일(화) 11시-12시 장소: 120호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학생들의 참석 부탁합니다.https://indico.knu.ac.kr/event/458/
2021.0119
대학원 종합시험 안내회 (수정) 대학원 종합시험 안내 (Orientation for QT of 2021) 일시: 2021년 1월 19일(화) 오전 11시 장소: 120호 (WebEX 병행) 홈페이지: https://indico.knu.ac.kr/event/454/ 2021년 3월과 9월에 실시되는 대학원 종합시험에 관한 안내입니다. 감염병 예방을 위해 2021년 3월 혹은 9월에 시험을 치를 대학원 학생에게만 대면 참석을 허용하니 그 외 학생들은 온라인으로 참석하여 주기 바랍니다.자료는 강의 자료실을 참조하기 바랍니다. (https://physicsknu.org:524/bbs/board.php?bo_table=dataroom&wr_id=20)
2021.0121
제2회 검출기 학교 (SPDAK 2021) 제2회 검출기 학교 개최 2nd School for Particle Detectors and Applications at KNU (SPDAK 2021) 2021.1.21-22Topics1. Design for future lepton collider (e+e-) and 100 TeV experiments2. Calorimeter3. Silicon detector4. Scintillator and crystals5. Radiation detection6. Photon detection in a new way7. Trigger8. Fast electronicsLecturersJohn Hauptman (Iowa State Univ.)Hongjoo Kim (KNU)Haeyoung Lee (RSRI@KNU)Jik Lee (CHEP@KNU) Minsang Ryu (Univ. of Seoul)Richard Wigmans (Texas Tech Univ.)Hwidong Yoo (Yonsei Univ.)Sungwon Youn (CAPP@IBS)https://indico.knu.ac.kr/event/453/ (http://spdak2021.knu.ac.kr) 관심있는 학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다운로드
2020.1125
(콜로퀴움) 중성미자의 질량에 대하여 자연은 쿼크와 렙톤이라는 소립자로 구성되어 있다. 렙톤중에서 전하를 가지고 있지 않는 중성미자는 약한 상호작용만 하기 때문에, 물질과의 반응이 지극히 작다. 이런 이유로 중성미자가 질량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도 20여년전에 중성미자의 진동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밝혀졌다. 우리나라에서 진행되었던 원자로 중성미자 진동실험을 통해서 중성미자의 질량차이가 어떻게 측정되는지 설명할 것이다. 또한 중성미자와 반중성미자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하고, 이중베타붕괴 실험을 통해서 이들 중성미자의 성질을 어떻게 규명하고, 중성미자의 절대적인 질량을 어떻게 측정하려고 노력하고 있는지, 세계적인 실험들과 우리나라의 실험을 소개할 것이다. https://indico.knu.ac.kr/event/445/
다운로드
2020.1111
(콜로퀴움) From entanglement to quantum sensing Entanglement is at the heart of quantum information technologies which include quantum teleportation, quantum communication, quantum computation, and quantum sensing. In this talk, I introduce how entanglement is useful in the quantum information technologies. Then I keep an eye on the quantum sensing that aims at achieving high precision in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 physical system using quantum states and measurements. One prominent example is the detection of a gravitational wave using the Michelson interferometer, which measures a tiny variation of path length in the interferometer signifying the existence of the gravitational wave. https://indico.knu.ac.kr/event/23/
다운로드